백내장에 쓰는 인공수정체는 지난 10년 간 크게 발전하면서 수술 결과가 더욱 좋아지고 있습니다.
백내장 환자는 노안이나 난시를 같이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자신의 눈 상태에 따라 인공수정체를 달리 선택할 수 있으며,
노안이 불편하면 먼 거리와 가까운 거리를 모두 잘 볼 수 있는 다초점이나 연속초점 인공수정체를 쓰면 됩니다.
난시 역시 과거에는 백내장 수술만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았지만,
난시까지 같이 교정할 수 있는 인공수정체가 개발되면서 수술 후 시력 교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습니다.
인공수정체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정확한 검진을 통해 적절한 인공수정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더조은안과에서는 백내장 수술 전 시력·안압·각막 상태는 물론이고,
수술현미경을 비롯해 중증 백내장 수술 시 필요한 자동 안압 조절 기능을 갖춘 수술 장비 등 최신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백내장은 흔하지만 쉽고 간단한 수술이 아닙니다!
전세계 실명원인 1위인 질환이며 수술 과정중에 작은 실수가 실명까지 이를수 있는 매우 까다롭고 위험한 수술입니다.
매년 65세 이상 노년층 입원 질환 1위, 2014년 수술 환자 19만명, 매년 4~5% 이상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 바로 백내장입니다.
더조은안과는 환자를 가족같은 마음으로 안전한 수술을 하기 위해 의사와 수술팀, 의료장비 등 철저하게 점검하며 관리 하고 있습니다.
수술부터 수술후관리까지 가족과 같이 한결같은 마음으로 더조은안과는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수술에 필요한 기구와 백내장제거 후 인공수정체를 넣기 위해 각막 윤부에 절개창을 내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이 성공적이어야 이후의 모든 과정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절개창을 통해 전낭절제 Niddle(바늘) 이나 Forcep(집게) 를 사용해 수정체를 싸고있는 전낭에 원형의 창을 내주는 시술입니다. 얇고 투명한 막으로 구성되어 있어 쉽게 찢어지므로 세심하고 숙련된 조작이 필요한단계입니다. 중심부에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주어야 수술시 추가적인 합병증이 예방되고 수술 후 시력 예후가 좋습니다.
끝이 날카롭지 않은 주사 바늘을 이용해 수압으로 후낭과 피질과 수정체핵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이 작업이 성공적이면 다음 단계인 수정체 유화술의 시간이
단축되고 피질제거도 용이합니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혼탁이생긴 수정체를 잘게 부숴 흡입해 빠른시간에 효율적으로
흡입 제거하기위해 수정체를 조각내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초음파유화술로 수정체를 제거한 후 주변부에 남아있는 피질을 흡입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수정체의 뒷부분을 싸고있는 후낭을 보존하면서 조심스럽게 시행되어야 합니다.
후낭이 튼튼하게 보존되어야 인공수정체 삽입을 적절한 위치에 할 수 있으며
수술 후 시력예후가 좋습니다.
제거한 수정체 대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과정입니다.
백내장 수술은 수술 중 혹은 수술 후의 관리가 중요합니다.
백내장 수술을 위한 전문검사는 수술 성공의 첫 단추 입니다.
놀라운 결과와 만족을 드리는 더조은안과의 백내장 수술, 정확한 전문검사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더조은안과는 아래의 백내장 전문검사를 시행합니다.
Basic 검사
Specific 검사
백내장은 철저한 감염방지 시스템이 있어야 합니다.
더조은안과는 백내장 수술을 위한 전문 수술 공간과 소독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 항목 | 단위 | 비용 | 최저비용 | 최고비용 |
|---|---|---|---|---|
| 일반진단서 | 1부 | 10,000 | ||
| 상해진단서 | 1부 | 100,000 | 150,000 | |
| 소견서 | 1부 | 5,000 | ||
| 입퇴원확인서 | 1부 | 3,000 | ||
| 수술확인서 | 1부 | 3,000 | ||
| 진료확인서 | 1부 | 3,000 | ||
| 진료기록사본 | 1부 | 100 | 1,000 | |
| 진료기록영상 (CD) | 1장 | 10,000 | ||
| 제증명서 사본 | 1부 | 1,000 | ||
| 조절성 인공수정체 | 단안 | 900,000 | 3,200,000 | |
| 하드렌즈 | 양안 | 220,000 | 330,000 | |
| 드림렌즈 | 양안 | 1,000,000 | 1,400,000 | |
| 간섭계를 통한 지질층 두께검사 |
단안 | 30,000 |